오늘은 4월 20일 장애인의 날입니다. <br /> <br />장애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돕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법정 기념일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장애인에 준하는 일상 속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장애인으로 인정받지 못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'경계선 지능인'입니다. <br /> <br />현행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르면, 지적장애인은 IQ 70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지적 장애를 가진 것은 아니지만, 평균 지능에 못 미치는 사람들, 일반적으로 IQ 71에서 84사이에 있는 분들을 바로 '경계선 지능인'이라고 부릅니다. <br /> <br />정확한 실태 조사는 없지만, 해외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13.6%가 이에 해당하고요. 국내엔 약 80만 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계선 지능인은 학교생활부터 다른 학생들에 비해 많이 느린 편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'느린 학습자'라고 부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수업에 집중하는 일도, 친구들과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는 일도, 모두 또래 친구들보다 힘들어하는데요. <br /> <br />느린 학습자들이 어렵사리 학업을 마치고 사회로 나온다 해도 생계 유지를 비롯해 더 큰 난관에 부닥칩니다. <br /> <br />이를테면 지각 추론 능력이 저조한 경우, 운동화 끈을 묶는 것조차 힘겨울 뿐더러, 시공간 정보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능력이 떨어져 생업에 도움을 주는 운전면허는 딸 수조차 없습니다. <br /> <br />손으로 하는 작업이 느리다 보니 단순 아르바이트도 한 달 이상 지속하지 못해 생계를 유지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습니다. <br /> <br />폭력이나 사기 등 범죄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도 높은데요. <br /> <br />사회적으로 큰 공분을 샀던 '신안 염전 노예 사건'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계에 있는 '경계선 지능인'에 대해 국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IQ 70과 IQ71, 지능 지수 단 1 차이로 장애인의 권리를 인정받지 못한다며 지적 장애의 범주를 넓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엔 장애인 단체가 불합리한 지적장애 판단 기준을 개정해야 한다며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지난해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는 한국의 장애인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권고 사항을 제시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 중에는 장애의 개념을 확대하는 안도 포함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복지는 물론 아예 사회적 관심의 사각지대에서 위태롭게 머물고 있는 경계선 지능인들. <br /> <br />이들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42017181635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